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1

[직장인 자기계발] 내가 하고 있는 공부는 진짜 공부일까? 99. 왜 어떤 사람은 회사생활에서 일을 잘하고, 또 어떤 사람은 힘겨워할까? 어떤 사람은 N잡러에다, 재테크에다 자기 살 길을 잘 만들어 가는데, 또 어떤 사람은 열심히 하면서도 늘 공허함을 느낄까? 그런 사람들의 차이가 무엇인가 한 번 생각을 해보았다. 그러다보니 그건 바로 '공부를 하느냐, 하지 않느냐' 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하고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러므로 끊임없이 공부를 해야만 무기력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다고 말이다. 어찌보면 되게 단순한 답인것 같이 느껴질지 모르겠다. 단순한 이 생각은 공부에 대한 한 육아전문가 선생님의 말로부터 시작이 되었다. 육아문제 해결사 오은영 선생님이 말하는 '진짜 공부' 요즘 우리 사회엔 3대 해결사가 존재한다고 한다. 그들은 다름아닌 백종원, 강형욱,.. 2021. 8. 19.
[글 잘 쓰는 법] 내가 쓴 글을 논리적으로 만들어주는 공식, OREO(오레오) 98. 지금 이 글을 쓰는 저도 그렇지만, 요즘 글쓰기를 잘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글이란 정제된 표현을 골라 쓰고, 생각을 조리있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란 점에서 말하기보다 효과적인 소통수단인데요. 블로그, 유튜브 등을 통한 돈버는 글쓰기부터 보고서를 잘 쓰고 싶은 직장인, 논리정연한 레포트를 쓰고자 하는 직장인 등 다양한 사람들이 글쓰기를 잘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사례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가 바로 글쓰기입니다. 글쓰기의 장점은 책, PDF, 블로그, 유튜브 등 한가지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역시 글쓰기를 잘하기가 어렵다는 데 있는데요. 논리정연한 글쓰기를 위한 공식이 있.. 2021. 8. 18.
[이직 준비] 완벽한 이직을 위한 전략지도 97. 얼마전 완벽주의 테스트를 해본적이 있다. 완벽주의 유형에도 4가지가 있다고 하는데 그 중 어떤 성향에 속하는지를 알려주는 테스트였다. 그런데, 나같은 스타일의 특징 중 한가지가 사소한 것은 복잡하게 생각하고, 오히려 중요한 문제를 단순화해서 생각한다고 했다. 이렇게 당황스러울 수가. 하긴, 이사를 할때도, 대학 전공을 정할때도 그랬던거 같다. 원래 내가 큰 결정일수록, 아니 복잡다단한 문제일 수록 좀 급하게 결정했던 적이 있었던것 같다--;; [완벽주의 성향 테스트] 24문항으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통해 완벽주의자 성향을 도표로 보실 수 있습니다. www.perfect4.co.kr 돌이켜 생각해 보니, 내 이직도 그러지 않았을까 싶어서 움찔했다. 그래서, 현재 내 위치 파악도 할겸 이직을 진지하게 .. 2021. 8. 16.
[직장내 괴롭힘] 업무시간 중 선교행위가 직장내 괴롭힘??? 96. 직장내에서 포교활동을 하는 것이 직장내 괴롭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실제 사례를 소개해 드리고자 하는데요. 조선일보 8월 13일자 기사에 실린 내용입니다. 상사가 업무시간 중에 하루 한 시간씩 사무실을 돌며 선교활동을 하고 다닌다는 사연으로, 피해(?) 당사자가 고통을 호소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여러 부서를 돌아다니면서 선교를 하는데 , 사연의 당사자는 벌써 여러번 권유를 받았다고 하는군요. 만약, 하급자나 동료가 그런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상급자가 그러는 것이기 때문에 쉽게 그 행위를 거절할 수도 없다는 것이 현 상황이었습니다. 일단 종교의 자유는 헌법 제20조에 보장된 기본권이기 때문에 쉽게 판단을 내릴 수는 없는 사안인것은 맞다고 합니다. 종교의 자유는 종교를 가질 수 있다.. 2021.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