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1

[조직문화] 직원이 바라는 문화가 바람직한 조직문화일까? 75. 삼성을 거쳐 아마존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태강 님은 '아마존의 팀장수업' 이란 책을 낸 분입니다. 얼마전 칼럼을 통해 아마존의 문화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침묵회의' 라는 것이었는데요. 아마존에서는 회의에 들어가면 전체 회의시간의 3분의 1을 회의자료를 읽는데 쓴다고 합니다. 주로 한명이 주도해서 그 날 회의의 안건과 주요사항을 설명해 주는 우리 기업들의 회의방식과는 자못 다른 방법인데요. 그 이유는 잘 정리된 문서보고서를 읽어야만 그 회의의 핵심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말이 오고가는 것보다는 정제되고, 고민에 고민을 거쳐 만든 보고서가 더 정확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처럼 아마존에서는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해서 보고서 작성에 심혈을 기울인다고.. 2021. 7. 18.
[성공 명언] 무언가를 이루기에 정해진 때란 없다 74. 우리나라는 '때되면 해야하는 것들' 이 많습니다. 때되면 공부해야 하고, 때되면 졸업해야 하고, 때되면 취직하고, 때되면 결혼하고... 모든 일에는 다 때가 있기 마련이지만, 동시에 조금 늦는다고 그리 크게 문제될 것도 없다는 것도 사실이라 생각합니다. 그저 남보다 조금 늦는다는 사실에 불안해 할 뿐이죠. '레이트 블루머(Late bloomer)' 라는 책의 프리뷰를 보니 아래와 같은 연구내용이 소개되어 있었습니다. 내용인즉슨 우리 뇌의 능력은 나이에 따라 정점에 다다르는 시기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혼히, 나이가 어릴때 우리 뇌의 기능이 절정이라고 알고 있는데, 사회적 이해능력이나 언어지식은 오히려 40대~60대에 걸쳐서 절정에 다다른다는 것입니다. ※ 위 이미지 내용 원문 바로가기 ☞ 클릭 마흔.. 2021. 7. 17.
[완벽주의자 테스트] 책 '네 명의 완벽주의자' 73. 개인적으로 저는 완벽주의자라는 정의를 저 자신에게 내리곤합니다. 진단을 받아보진 않았지만, 제 스스로를 바라보면 새로운 일은 쉽게 엄두내지 못하기도 하고, 일을 미루는 현상이 이에서 비롯되는 것 같아서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책 '네 명의 완벽주의자' 를 펴낸 흐름출판에서 완벽주의자 테스트를 제공하여 한번 해봤습니다. 여러분께서도 한 번 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아래 링크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4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완벽주의 성향 테스트-흐름출판 (perfect4.co.kr) [완벽주의 성향 테스트] 24문항으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통해 완벽주의자 성향을 도표로 보실 수 있습니다. www.perfect4.co.kr 저는 개인적으로 '막판스퍼트형 완벽주의자' 란 진단을 받았고, (이.. 2021. 7. 13.
[노력의 배신] 노력해도 안 되는 일은 분명 있다. 사람은 원래 그렇게 강하지 않으므로... 72. '나는 약한 존재다' 라고 말하라 25년차 마케터이자 LG전자, 두산그룹 임원을 거친 최명화 대표(성장러닝플랫폼 블러썸미 대표)는 말한다. "우리는 강하지 않다" 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이다. 많은 사람들이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한다. 노력하면 안되는 일이 없다고, 그러니 더 노력하라고 스스로를 재촉한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스스로를 몰아세울수록 자신을 더 위기에 빠뜨리는 것이라고 최명화 대표는 말한다. 이렇게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은 자신에 대한 증오를 키운다고 말이다. 충분히 노력하지 않은 자신에 대한 증오 말이다. 그래서, 차라리 스스로가 약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편이 롱런할 수 있는 길이라고 말한다. 그녀는 아래와 같이 생각하기를 권한다. 나는 정말 약해. 정말 찌.. 2021.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