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자기개발

[완벽주의자 테스트] 책 '네 명의 완벽주의자'

by '흡수인간' 2021. 7. 13.
반응형

73.

 

개인적으로 저는 완벽주의자라는 정의를 저 자신에게 내리곤합니다. 진단을 받아보진 않았지만, 제 스스로를 바라보면 새로운 일은 쉽게 엄두내지 못하기도 하고, 일을 미루는 현상이 이에서 비롯되는 것 같아서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책 '네 명의 완벽주의자' 를 펴낸 흐름출판에서 완벽주의자 테스트를 제공하여 한번 해봤습니다. 

여러분께서도 한 번 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아래 링크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4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완벽주의 성향 테스트-흐름출판 (perfect4.co.kr)

 

[완벽주의 성향 테스트]

24문항으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통해 완벽주의자 성향을 도표로 보실 수 있습니다.

www.perfect4.co.kr

 

저는 개인적으로 '막판스퍼트형 완벽주의자' 란 진단을 받았고, (이게 무엇인지는 뒤에 설명드릴게요) 완벽주의 60점을 받았습니다. 생각보단 양호하네요. ㅎㅎ

 

대표 저자이신 이동귀 교수님 말씀으론 70점을 넘으면 '아, 내가 한 '완벽주의' 하는구나' 라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unsplash.com

 

윌라 강의에서 책 내용을 소개받았는데 이를 통해 알게된 내용이 세가지 있습니다. 

 

첫째, 한국인 2명 중 1명이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다는 것

 

어떤 실험결과에서 국가별로 1분당 걸음수를 측정해 봤다고 합니다. 미국사람은 1분에 25걸음, 일본사람들은 35걸음인데, 우리나라는 55걸음이었다고 하는군요. 그만큼 급한 성격이고, 성취지향적임을 반증하는 얘기라고 들리는데요. 뭐든 빨리하고, 완벽하게 끝내려는 성향이 우리 한국사람 DNA에 내재되어 있는건지...^^;; 자세한 내용은 책을 읽어봐야 할 것 같네요. 

 

둘째, 완벽주의가 강박증과는 다르고, 행복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

 

완벽주의는 뭔가 성취하려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강박증은 그렇지 않다고 하네요. 그저 예민한 것일뿐. 그러므로,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나는 행복해지기 힘들겠구나' 하고 생각하는 것은 안좋은 생각이라고 합니다. 완벽주의는 더 큰 목표를 이루는 원동력이 될 수 있으니까요. 

 

셋째, 완벽주의에는 네가지 종류가 있다는 점. 

완벽주의에는 인정추구형, 안정지향형, 성장지향형, 막판스퍼트형이 있답니다. 

 

인정추구형은 남에게 인정받기 위해서, 남의 표정을 살피고, 눈치빠르게 행동하는 사람입니다. 남으로부터 배척당하지 않기 위해 모든것을 완벽하게 처리한다고 해요. 그만큼 스트레스도 크겠지만, 주변의 인정을 받고 성공할 수 있는 스타일이라고 합니다. 

 

두번째 안정지향형 완벽주의자는 '신뢰의 아이콘' 입니다. 무엇이든 조심조심하는 스타일이라 이런 분들에겐 믿고 일을 맡길수 있다고 해요. 우스개 소리로 이런분이 투자하는 곳이라면 따라서 투자해도 된다고 합니다. ㅎㅎ

 

세번째 성장지향형 완벽주의자는 말그대로 개인의 발전을 추구하는 유형입니다. 그것을 위해서 극도의 완벽함을 스스로에게 요구하는 스타일이죠.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들 중 이런 유형이 많다고 합니다. 조직에서 리더 역할을 하길 좋아하고, 목표 수준이 높아서 때론 주변 사람들을 힘들게 만든다고 하는군요. ("이게 안돼?" 라는 말을 즐기는 사람이라고 해요) 

 

네번째 막판스퍼트형은 중요한 일을 맡으면 실패와 평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일을 미루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제가 딱 이 유형인데, 본인이 흥미를 느끼거나 확신이 들기 전에는 일을 시작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딱 제 얘기네요. -_-;;; 

 

책 '네 명의 완벽주의자' , 이 책의 저자이신 이동귀 교수님의 윌라강의를 통해 완벽주의에 대해 좀 더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한번 읽어봐야 겠네요.

 

 

이런 진단의 장점은 '아, 나만 뭔가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니구나' 라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시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약점을 알게됨으로써 그런 부분에 대해 스스로를 용인해 줄 수 있다는 것이죠. 세상에 완벽한 사람이 어디있겠습니까? 조금씩 부족한 사람들이 어울려 사는게 이 세상인거 같애요. 아무쪼록 진단 한 번씩 해보시고, 자기 자신에 대해 좀 더 이해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